레이블이 사계절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사계절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20년 4월 7일 화요일


1. 오행(五行)


안녕하세요?
도토리 철학관의 초록도토리입니다.

“음양오행(陰陽五行)의 조화가 중요하다.“


 30대 정도라면 한 번쯤은 들어본 적이 있는 말일 것입니다.
그러나 ”음양오행이 뭐예요? 음양오행이 무엇이라고 생각하세요? 어려우시면 나눠 볼까요? 음양에 대해서 아는 대로 말씀해보시고 오행에 대해서 아는 대로 말씀해보세요.”라고 말하면 대답하시는 분이 거의 없습니다.

그래도 음양에 대해서는 말씀을 해주시는 편입니다.
대답을 못하는 분들은 진짜로 음양이 무엇인지 몰라서 대답을 못 한다기보다는 너무 쉬워서 이게 정말 대답일까? 아니면 어떡하지? 하는 생각 때문에 입 밖으로 내놓지를 못하는 것 뿐이죠.

그렇지만 오행(五行)은 알고 계시는 분들이 거의 없으십니다. 앞서 음양(陰陽)에 대해서는 설명을 했고 이번에는 오행(五行)이 무엇인지를 설명하려고 합니다.
오행(五行)은 자연을 이루고 있는 다섯 가지 원소를 말합니다.
이 다섯 가지는 木(나무), 불(火), 土(흙), 金(바위), 水(물)입니다.
여기서 木이 나무만 뜻하는 건 아닙니다. 이해를 돕기 위해 이렇게 적었을 뿐이예요.
예를 들어, 木는 목기운을 뜻합니다. 목기운이란 따뜻하고 위로 상승하며 어린아이와 같이 성장하며 시작하는 기운을 말합니다. 이런 식으로 목화토금수(木火土金水)가 뜻하는 바가 다 다릅니다.

여기서 오행(五行)을 더 구분하여 사행(四行)+일행(一 行)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사행(四行)은 목화금수(木火金水)이고 나머지 일행(一行)이 바로 토(土)가 됩니다.

이해되기 쉽게 오행을 두 가지 예를 들어 설명해 보겠습니다.
계절에는 사계절이 있습니다. 이 사계절을 오행으로 비유하면 봄(木), 여름(火), 가을(金), 겨울(水)이고 봄에서 여름으로 넘어갈 때나 여름에서 가을로 넘어갈 때처럼 간절기가 바로 土에 해당됩니다. 봄에서 여름으로 여름에서 겨울로, 즉 봄기운에서 여름 기운으로 여름 기운에서 가을 기운으로 움직이는 것입니다.

그리고 방향에도 다섯 가지 방향이 있습니다.
동(木), 서(金), 남(火), 북(水) 이렇게 네 방향만 생각하시는 분들이 많을거라 예상하는데요. 남은 한 방향이 뭘까요? 한번 맞춰보시죠~
바로 중앙, 중심(土)입니다.
사실 동서남북이라 부르려면 기준이 필요하잖아요?
서울에서 대전은 남쪽 방향이지만 부산에서 대전은 북쪽 방향이죠. 같은 대전이지만 어디서 바라보느냐에 따라 방향이 달라지는 것이예요.


To Be Countinued...
오행 2편으로...

2020년 3월 30일 월요일


3. 오행(五行)


안녕하세요?
도토리 철학관의 초록도토리입니다.

이 글은 오행에 관한 3번째 글로 1. 오행(五行) 2. 오행(五行)에 이어지는 글입니다.
앞 부분 내용이 궁금하신 분들은 1. 오행(五行) 2. 오행(五行)을 클릭하시면 됩니다.


극(剋)관계는 주황색 직선으로 이루어진 화살표를 보면 됩니다.
사각형에 있는 글자가 극을 하는 대상이고 화살촉 모양에 있는 글자가 극을 받는 글자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러면 수극화(水剋火), 목극토(木剋土), 화극금(火剋金), 토극수(土剋水), 금극목(金剋木)로 극을 하는 관계가 만들어집니다.


이 관계를 쉽게 설명해 보겠습니다.
■ 물(水)은 불(火)을 끄고,
■ 나무(木)는 땅(土)에 뿌리를 박아 땅을 헤집어 놓으며,
■ 불(火)로 철(金)을 녹여서 제련하고,
■ 둑(土)은 물(水)을 가두어 흐르지 못하게 하고,
 ■ 도끼(金)는 나무(木)를 베어 버린다.
이렇게 극당하는 입장에서 보면 본인의 본성을 유지하지 못하게 하여 변화를 일으킨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러한 변화는 자연 속에서도 사람의 인생 속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고 우리는 오행의 어느 단계를 살아가게 됩니다.
왜냐면, 우리는 봄, 여름, 가을, 겨울, 간절기 중 어느 환경 속에 살아가게 되며 인생은 아이가 태어나서(木) 어린 시절을 거쳐(火) 성인이 되고(土) 자식을 낳고 늙으며(金) 결국에는 죽는(水) 과정을 순환하는데 이중 어느 한 단계에서 지내고 있기 때문이죠.
또 땅속에 물(水)과 양분을 먹고 자란 어린 새싹(木)이 자라나 꽃(火)을 피우고 열매(金)를 맺고 낙엽이 지고 떨어진 나뭇잎이 다시 거름(土)이 되어 나무의 자양분이 되듯이 말이예요.
마지막으로 물을 끓이면 물이 보글보글 끓다가(木: 확장) 끓는점이 되면 수증기(火: 분열)로 상태변화가 이루어집니다. 그러다 불을 끄고 가만히 두면(土: 정지) 수증기는 다시 물방울(金: 결실)이 되고 여기서 차가운 곳에 물을 두게 되면 물은 얼음(水: 응축)이 되는 상태변화가 이루어지게 되요.

이렇게 알고 나니 그동안 몰랐던 것이 아니었다는 것을 알 수가 있죠?
그동안 알고 있던 원리를 적용만 하면 되는 것입니다. 명리학은 어렵지 않습니다.



2 .오행(五行)


안녕하세요?
도토리 철학관의 초록도토리입니다.

1. 오행(五行)에 이어지는 글입니다. 앞 부분 내용이 궁금하신 싶으신 분들은 1. 오행(五行)을 클릭하시기 바랍니다.

즉, 오행(五行)의 행(行)은 방향을 뜻합니다.
서울가는 기차를 탈 때, 우리는 서울행(行) 기차를 탄다고 합니다.
부산가는 버스를 우리는 부산행(行) 버스라고 부릅니다.
뉴욕가는 비행기를 뉴욕행(行)이라고 합니다.
이렇듯 행(行)은 방향을 뜻하는 말이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러한 오행, 목화토금수(木火土金水)는 서로 생극(生剋)관계에 있습니다.


초록색 동그라미가 생(生)관계를 나타내며 주황색 화살표가 극(剋)관계를 나타냅니다.
보시면, 초록색은 목화토금수 순으로 동그랗게 원을 그리며 생(生)하고 있습니다.
여기서 生(생)은 낳는다는 뜻으로 쓰입니다. '엄마가 아기를 낳는다'는 바로 그 뜻이죠. 그렇다면 누가 무엇을 낳는다는 말일까요?

쉽게 설명드리면 아기가 엄마 젖을 먹고 자라듯이,
■ 나무(木)는 물(水)을 먹고 자라며,
■ 불(火)은 나무가 땔감이 되어 불이 꺼지지 않고 타오를 수 있으며,
■ 불이 다 타고 재가 되어 땅(土)의 거름이 되며,
■ 땅이 굳어지면 바위(金)가 되고,
■ 바위에서는 물이 나옵니다.(산에서 약수가 나오는 곳은 바위죠.)

이 물은 또 다시 나무를 생(生)하고 물의 생(生)을 받은 나무(木)는 불(火)을 생(生)하는 순으로 계속 돕니다. 이러한 방식으로 기운의 흐름이 이동하여 변화하는 관계를 生관계라 해요.


To Be Continued...
오행 3편으로...



추천글

고놈의 집

인기글